
애틀란타 빛과 소금 한인교회
새 역사 (박은생 목사)
6 월 6 일 중앙일보 근현대사 연구소장 배영대의 “새 역사는 자기반성부터” 칼럼을 읽으면서 그동안 한국사회가 정권을 잡은 여당이 언제나 “과거사 바로잡기”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정적을 내치는 광란을 바람을 일으켰다 사라지고 또 일으켰다 사라졌을 뿐 제대로 정리된 것이 별로 없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새 역사는 “나는 다 잘했고 너는 다 잘못했다”는 의식으로서는 만들어 낼 수 없다는 것을 지적했습니다. 왜냐하면 새 역사로 포장한 또 다른 잇속 챙기기 이벤트의 반복일 가능성의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.
그러면서 한 역사가로서 그는 “과거사 바로잡기”를 진정으로 원한다면 그 말을 하는 사람부터 지나간 역사의 한 주체였음을 반성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. 그리고 그는 “자기반성 없이 새 역사는 시작되지 않는다. 남 탓 안하는 것이 새 역사의 출발이다.”고 했습니다.
그 분이 크리스천 역사가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으나 “과거사를 바로잡기”고 새로운 역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‘내 탓이요’에서 시작해야 새 역사를 출발할 수 있다는 것에 큰 공감을 하게 되었습니다. 일반 세상도 새 역사를 시작하기 위해서 그래야 한다고 하면 오늘날 교회가 새 역사를 출발하면서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?
우리 교회가 지난날의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새 역사를 시작하려는 시점에 있습니다. 잘못된 것을 바로 잡고 새 역사를 시작하려고 했는데 교회는 계속 혼돈의 혼돈을 거듭해 왔습니다. 왜 혼돈의 혼돈을 거듭 했을까요? ‘내 탓이요’에서 시작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
‘자기반성이 없이 새 역사는 시작되지 않는다’ 말은 우리 교회의 새 역사는 성도들의 영적인 각성과 회개 없이는 시작되지 않는다는 말과 꼭 같은 말입니다. 영적인 각성과 회개가 없이 새 출발을 한다면 새 역사로 포장이 된 것 일뿐 여전히 우리는 이전의크리스천의 삶을 되풀이하고 말 것이기 때문입니다.
세상 역사도 남의 탓 안하는 것이 새 역사의 출발이라고 하는 한 역사학자의 이야기는 오늘 교회 성도들에게 큰 도전으로 닦아옵니다.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가 아직 활동 개시를 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 교회의 새 역사를 출발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사실 문제의 원인을 내 탓으로 돌리는 것은 크리스천의 삶의 본질이기도 합니다. 범죄한 것은 우리지만 예수님께서 우리의 죄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시고 십자가 위에서 우리의 죄 값을 받으시므로 구원의 새 역사, 큰 역사를 이루신 것입니다.
교회의 새 역사를 시작하기 위해서 이제부터 교회가 당면하는 이런 저런 문제를 두고 서로 '당신 탓이요'라는 말은 삼갑시다. 당신 탓만 하다가 새 역사를 시작하지도 못하고 새 역사로 포장한 서로의 주도권싸움의 반복이 되고 말 것입니다.
새 역사를 시작합시다. 그러기 위해서 교회가 어떤 문제가 있던지 이제부터 '당신 탓이오'로부터 '내 탓이오'로 우리의 삶이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. 그러지 않는다면 우리는 새 역사를 시작도 못하고 주저 않고 말 것입니다.